top of page

주기범 개인전
CATNAP

2023.10.6 - 10.29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의식과 무의식 사이를 넘나드는 찰나 의도하지 않은 토막잠에 빠져든다. 잠들기 전 선명했던 현실은 과거가 되어 흐릿한 기억의 저편으로 밀려나고 현실을 놓아둔 채 빠져든 잠의 시간은 우리를 잠들기 전과 다른 시공간으로 이끈다. 얼마의 시간이 지난 후 현실과 유리(遊離)되었던 순간에서 깨어나 잠시 멍한 채로 상황을 인지한다. 그리고 현실과 맞닥뜨린 순간, 우리는 차안(此岸)의 현실을 좀 더 선명하게 바라볼 원동력을 가지고 '지금'과 '지금 을 자각하는 자신'을 마주하는 동시에 토막 난 시공간 너머 자리 잡은 기억 속 흐릿해진 일상을 되짚어 본다.


주기범은 이번 개인전 《CATNAP》에서 시공간적 차원의 경험과 감각들을 토막잠과 연결지어 기억에서 흐려진 일상의 다양한 모습을 회화로 재맥락화한 작업들을 선보인다. 작가는 자신이 직접 찍은 주변의 일상 사진을 기반으로 작업을 한다. 오래전부터 디지털 라이징 되어 온라인 클라우드에 쌓인 수많은 이미지들은 한동안 디지털 공간을 부유하며 잠들어 있다 시간이 흘러 작가의 기억에서 희미해질 때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의 재료로써 기능한다. 작가는 개인의 감정과 완벽하게 멀어지기는 어렵지만 일정한 거리감을 유지하며 클라우드에 저장된 이미지 중 재료로 기능하는 이미지를 작업을 위해 건져 올린다. 그리고 선택된 이미지들은 작업실에서 현재의 시간을 경유하여 캔버스에 옮겨진다.


《CATNAP》은 지상과 지하로 나뉜다. 두 공간은 꽤나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데 우선 지상의 작품들을 살펴보면 토막 난 이미지의 파편들이 서로 연관성 없이 독립된 이야기를 가지며 개별적으로 존재한다. 작품은 조금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도로 표지판을 부여잡고 버티는 듯한 사람의 모습 (<버티는 중>(2023)), 버려진 듯한 인형(<잠깐 누움>(2023)), 폭죽이 터지는 모습(<기억 없는 소원>(2023))등 우리 주변에서 보이는 일상적 장면들로 작품 속 대상들은 시간과 비례하여 기억에서 퇴색된 상태이다. 촬영 당시 갖고 있던 맥락과도 단절되어 작가 본인의 개인적 서사와는 멀어졌지만, 작업은 우리 주변 삶의 양식들을 내포한 일상적 흔적들을 현재의 시점에서 담은 장면이기에 역설적으로 새로운 내러티브를 만들거나 타인의 서사 속으로 쉽게 재편입될 가능성을 갖게 된다.


토막 난 이미지의 파편들을 벽면을 따라 일렬로 전시한 일층과 달리 계단을 따라 내려간 지하 공간은 주로 컷 만화 형식으로 캔버스를 배치한 회화 작업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작가가 이전과 달리 새롭게 시도한 방식으로 전시장이 서사가 있는 공간으로 경험되길 바라며 다중 화면을 통한 설치 형식의 회화 작업을 진행한 이전 작업들과 명맥을 함께 한다. 이번 전시 대표작이자 7 점의 크고 작은 캔버스로 이뤄진 <지금 여기 모인 그때>(2023)에서 대부분의 작업들은 지상에서 전시된 이미지 일부를 재선택하여 확대, 크롭 등의 작업 후 컷 만화 형식을 차용하여 분할된 캔버스에 재구성한 작품으로 전체를 하나로 잇는 듯한 핑크톤의 통일된 색조가 주를 이룬다. 작가는 이를 통해 자신이 길어 올린 현실의 조각들에서 한 번 더 대상과의 거리감을 조정하려는 듯한 제스처(gesture)를 취하며 화면을 재구성하고 캔버스 화면의 컷과 컷을 엮으며 장면들을 새롭게 재맥락화한다. 그리고 컷 만화 형태의 프레임으로 인하여 생긴 장면과 장면 사이 여백은 탈각된 시공간성을 내포하며 연결된 스토리를 상상하게 만들고완결되지 않은 새로운 가능성으로 엮이며 다양한 서사를 창출해 낸다. 한편 사선을 기점으로 두 개의 캔버스가 마주한 <지금 여기 모인 그 때>(2023) 동명의 작품은 특정 장소에서 전혀 다른 시기에 서로 연관 없는 사람이 소리치는 모습이지만 서로가 반응하는 모습처럼 연결 지어 묘사하였다.


이처럼 《CATNAP》에서 작가는 익숙함으로 쉽게 지나친 일상의 토막들을 자신의 회화적 방법론으로 엮어 재구성한 작품들을 전시에 담았다. 전시된 작품들은 대부분 이미지들 간 연관성이 전혀 없는 생경한 것들이지만 한 공간 안에서 과거와 현재의 시간을 아우르며 연결되어 내러티브를 만드는 요건들을 생성해 간다. 바다 위 수면은 평온해 보이지만 수면 아래는 우리가 상상하는 그 이상의 많은 사건들이 벌어지는 것처럼 작가는 단지 이미지를 재현하는데 그치지 않고 회화의 표면 아래를 인지, 기억 저편 가라앉은 과거의 것들을 현재 시점으로 소환, 투영시켜 보는 이로 하여금 자유롭게 상상하고 감각하게 하며 각자의 서사를 떠올리게 한다. 그리고 그렇게 파생된 내러티브를 함의한 작품들은 자신과 사회와의 유기적 연결 고리를 만들고 또 다른 내러티브를 형성해 간다.


_이현경(신한갤러리 큐레이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