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지니서 개인전

A Piece of Sky 片天

​기획 : 강여울

2017.4.7 -

4.30

 

 

“어린 시절 파란 하늘을 바라보며 구름 저편의 세상을 그려보던 수많은 시간들. 종종 공항의 라운지에서 생각의 여정을 적곤 한다. 푸른 하늘처럼 다가오는 마음의 명료함 속에서 설명할 수 없는 이동의 시간들을 기록한다. 목적지가 아니라, 그곳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어릴 적 세상을 바라보던 순수한 열망과 호기심은 지니서를 예술의 길로 이끌었다. 그녀의 예술적 여정은 몇 차례의 변천을 겪어왔다. 캔버스 위의 색상들은 입체의 영역으로 확장되어 벽과 기둥을 덮고, 열린 공간을 가로질렀다. 단단함과 흐름, 차가운 금속의 명료함에서 한지의 포근한 감싸안음까지 물질의 다양한 층들과 텍스처 사이를 오갔으며, 그녀 고유의 시각 언어를 상(床)과 도자기 등 생활 속의 오브제로 표현해 내기도 했다.

이제 공간 속에 펼쳐지는 그녀의 여정은 시간과 역사를 가로지르는 탐색과 함께 한다. 최근 몇 년간 지니서는 조선시대의 여류 시인들로부터 많은 영감을 받아왔다. 그들에게 시(詩)라는 공간은 현실의 억압과 제약으로부터 벗어난 각자의 마음을 담아내는 순수한 풍경과도 같았다. 이 전시의 새로운 작업들은 19세기 초 조선의 여류시인 김금원(金錦園)의 마음과 함께한다.

저녁 구름가 푸르게 퍼지는 하늘 한 조각
모는 것이 새롭네, 이 세상 시작하던 때처럼

세상일 깨달으니, 어찌 동자에게 차를 달이라 하나

소나무 사이 흩어지는 달빛에 맑은 샘물 긷네

片 天 靑 綻 暮 雲 邊

萬 象 新 同 開 闢 年

解 事 奚 童 將 煎 茗

漏 松 缺 月 汲 淸 泉

집 떠나 먼 곳, 바닷가 높은 정자에 앉아 고요한 바다 위로 떠오르는 달을 바라보던 금원이 지은 시이다. 그녀는 열 네 살의 나이에 남장을 하고 집을 떠나, 세상을 경험하기 위한 길을 떠났다. “내가 죽고 세월이 흘러 나는 어떻게 기억될 것인가?”

“내 앞에 가로놓인 악조건들을 한탄만 할 것인가? 아니면 이를 딛고일어설것인가?”1 이백 여년 전 금원이 던진 이 물음들은 여전히 우리의 가슴 속에서 울리고 있다. 여성으로서 자신의 삶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을 품은 채,그녀는 세상을 여행했다. 그로부터 이십 년 후, 그녀는 최초의 여성 시단(詩壇)을 꾸려 동료 여류 시인들과 마음을 나누었으며, 그녀의 발자취와 통찰을 기록한 책을 남겼다. 그녀는 “마음에 책을 품고 옥을 품었으며,비단같은 작은 가슴속에 광활한 바다와 드높은 산을 감춘”2 여성이었다.

몇 년 전 보았던 또 다른 하늘을 기억한다.
프레임 속에 담긴 다양한 푸른빛의 페이퍼-컷으로 이루어진 지니서의 설치였다. 그것은 공간 속에서 온갖 방향으로 빛을 발하는 하늘의 파편들이 만들어낸 통로였다. 그 안을 거닐며, 그녀의 눈이 본 것, 그녀의 손이 느낀 것, 그녀의 마음이 거닐었던 길의 단편들을 만날 수 있었다.마치 푸른 하늘을 올려다볼 때면 항상 그러하듯, 고요함 속의 잔잔한 희망을 느꼈다.

여기 “한 조각의 하늘”이 있다. 광활한 바다처럼 푸르고, 드높은 산처럼 깊게 그려낸 하늘이다. 이것은 금원의 자유로운 정신에 대한 지니서의 진심 어린 찬시(讚詩)이자, 각자의 여정을 떠나는 모든 여성들을 위한 애정 어린 기도이다.
이 맑은 한 조각의 하늘은 금원과 지니서가 바라다본 하늘, 우리 모두 위에 드리운 하늘이다.

_강여울

1 김금원, 『호동서락기(湖東西洛記)』
2 김금원에 대한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의 평 중에서, 『완당전집(阮堂全集)』

Two Minds, One Gesture

“As a child, I would spend countless hours looking up in the sky and wondering about the world
that exists beyond the clouds.
Nowadays, I find myself writing passages of thought at the airports.

Like the blue sky, the moment of clarity compels me
to record the unaccountable time in transit.
It is not the final destination but the process of getting there.”

Her singular childhood vision and curiosity of the
world have propelled Jinnie Seo to pursue her artistic endeavors. Throughout the course of her creative practice, she has gone through a number of transitions. Colors on her canvas have shifted and leaped into the realm of three-dimensionality covering the walls and pillars, and penetrating open spaces.
She has explored various layers and textures of materiality from solidity to fluidity, from the cool lucidity of metal to the warm embrace of traditional paper.
Furthermore, translating her visual language into functional objects, she created tables and ceramic wares.

Now, her spatial journey unfolds in parallel to her navigation through time and history. In recent years,
she has discovered inspiration from female visionaries of Joseon Dynasty whose works captured pure landscapes of individualistic minds freed from the tribulations and restrictions of daily lives. Her inspirational collaborator, Kim Geumwon, an early 19th century poet accompanies Seo’s new work.

A piece of sky spreading blue across the evening clouds
All things are new, as in the creation of the world
Realizing the way, how could I ask an errand boy to make tea Moonlight scattering under the pines, went to draw

clear spring water

Sitting on a lofty pavilion by the sea far away from home, Geumwon wrote this poem. At age fourteen, she took an audacious step in disguising herself as a boy and left home
to experience the world. She was the first woman to travel to the Diamond Mountains in Joseon Dynasty. “How will
I be remembered after I die? Should I be just lamenting the obstacles in front of me, or should I rise up against them?” These powerful words of aspiration spoken by Geumwon
two hundred years ago still echo in the present time.
During her travel, she sought after the answers to the fundamental questions about her life as a woman.
Twenty years later, she founded the first women’s poetry club sharing the creative insights with her female like minds,
and wrote a book recording her footsteps. She was a woman

“who cherished books and jades, vast oceans and high mountains in a small silky mind.”

I remember seeing another sky some years ago.
It was Seo’s installation composed of a series of framed paper- cuts in different shades of blue – a passage made of fragments of the sky glinting in all directions. Wandering through it,
I caught glimpses of what her eyes saw, how her hands felt, and where her mind wandered. I felt subtle hopes in calmness just as I do whenever I look up the blue sky.

Here is her Piece of Sky painted as blue as a vast ocean, as deep as a high mountain. It is a heartfelt encomium for Geumwon’s visionary spirit as well as a tender prayer for all the women who have yet to embark on their own journeys.
It is the same pure blue sky that Geumwon and Seo witnessed, and the one above us.

Yoewool Kang

Photos by 김인철

Poster/brochure:designed by One O One factory

Printed by G Graphics 

Installation team: 김인철, 김용주, 김성수, 박종욱, 유승현, 길준후Elna Confesor, 지니서 

Special thanks to 최욱 One O One architects

bottom of page